반응형
📗 @SpringBootApplication 이해하기
📍 @SpringBootApplication
- 스프링 부트 사용에 필요한 기본 설정 해줌
└ @SpringBootConfiguration
- 스프링 부트 관련 설정 나타냄.
- @Configuration 상속
└ @ComponentScan
- 사용자가 등록한 빈을 읽고 등록
- @Component 가진 클래스 찾아 빈으로 등록
└ @EnableAutoConfiguration
- 자동 구성 활성화
- 스프링 부트 서버가 실행될 때, 스프링 부트의 메타 파일을 읽고 정의된 설정들을 자동으로 구성
(*메타 데이터 : 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데이터)
📗 테스트 컨트롤러 살펴보기
📍 @RestController
- 라우터 역할 ;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는 메소드 실행
- @Controller + @ResponseBody = @RestController
(*라우터 : HTTP 요청 - 메소드 연결 장치)
📍 @Controller
- @Component 포함
(*@Component : 해당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)
🧩 @Controller 애너테이션이 @ComponentScan을 통해 빈으로 등록되는 이유
: @Controller 애너테이션에서 @Component 애너테이션을 갖고 있기 때문.
(해당 글 내용은 📗 스프링 부트 3 백엔드 개발자 되기 - 자바 편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)
반응형
'📚 관련 독서 > 스프링 부트 3 백엔드 개발자 되기 - 자바 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Boot] 04장 스프링 부트 3와 테스트 (0) | 2023.08.11 |
---|---|
[SpringBoot] 03장 스프링 부트 3 구조 이해하기 (0) | 2023.08.11 |
[SpringBoot] 02장 스프링 부트3 시작하기 (0) | 2023.08.09 |
[SpringBoot] 01장 자바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두면 좋은 지식 (0) | 2023.08.09 |
[SpringBoot] 00장 개발 환경 구축하기 (0) | 2023.08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