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DT/TIL
2022-08-05 (Fri)
imname1am
2022. 8. 13. 16:58
반응형
Contents
지난 글 이어서…
Statement vs PreparedStateMent vs CallableStatement
∙ Statement 그냥 sql문 주저리 써야함 / 문장 준비하고 그 다음에 문장 실행할 때 sql문 씀
∙ PreparedStatement 보안 위해 (?, ?, ?) -> 가독성 👍, 서브쿼리문 쓸 때도 / 준비할 때 sql문 씀
∙ CallableStatement 프로시저 호출 객체. 거의 비슷한데 SQL문 안에 프로시저/함수로 개발된 요소 있어야. ?안에 값 넣어야함 (보안👍). Pstmt 자손이라 비슷한겨…
IN vs OUT
∙ IN : SQL 안에서 쓸 거
∙ OUT : 밖으로 내보낼 거 (JAVA) → 내가 받아올 거는 registerOutParameter로 선언해 받아와야 함
함수 vs 프로시저
∙ 함수 : 리턴 값 하나 (간단한 계산식)
∙ 프로시저 : 리턴 값 X. 근데 파라미터 통해 여러 개 돌려줄 수 있다. (DML 작업할 때)
6장. SQL 함수
대소문자 변환 함수
종류 | 의미 |
INITCAP | 문자열 첫 번째 문자만 대문자로 |
LOWER | 문자열 전체 소문자로 |
UPPER | 문자열 전체 대문자로 |
문자열 길이 변환 함수
종류 | 의미 | 예제 |
LENGTH | 문자열 길이 반환 | LENGTH(‘홍길동’) → 3 |
LENGTHB | 문자열 바이트 수 반환 | LENGTHB(‘홍길동’) → 6 |
UTF8 (기준) - 한글, 1자 3바이트 .ᐟ
UTF16 - 한글, 1자 2바이트
문자 조작 함수
: CONCAT, SUBSTR, INSTR, LPAD/RPAD, LTRIM/RTRIM
숫자 함수
종류 | 의미 | 예 |
ROUND | 지정한 자리 이하에서 반올림 (지정한 소수점 이하 n+1자리에서 반올림) |
ROUND(123.17, 1) → 123.2 |
TRUNC | 지정한 소수점 자리수 이하를 절삭 (지정한 소수점 이하 n+1자리에서 절삭) |
TRUNC(123.17, 1) → 123.1 |
MOD | m을 n으로 나눈 나머지 | MOD(12, 10) → 2 |
CEIL | 지정한 값보다 큰 수 중 최솟값 | CEIL(123.17) → 124 |
FLOOR | 지정한 값보다 작은 수 중에서 최댓값 | FLOOR(123.17) → 123 |
✱ ROUND vs TRUNC
✱ ROUND(n, -1) : 소숫점 왼쪽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(= 일의 자리)
모두의 SQL: ROUND : 숫자 반올림하기
thebook.io
날짜 함수 ⭐⭐⭐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