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활코딩/CSS

웹페이지 스터디 첫째 주 (1차시, 2차시) 정리

imname1am 2020. 9. 5. 13:33
반응형


<DAY1>

◇ 강조 태그 - 글씨체 강조 효과

- <b>, <strong> : 굵게
- <i,em> : 기울임꼴
- <mark> : 형광펜 처리
- <small> : 작게

cf) 또 다른 글씨체 기울임 효과

style= "font-style: italic;"

<DAY2>

■ 테이블 태그

<table> : 표 만드는 태그 (1)
<thead> : 테이블 제목부분 (2-1)
<tbody> : 테이블 내용부분 (2-2)
<td> : 표에 데이터 입력 (3)
<tr> : 행 (가로줄) (2)
<th> : 열 (세로줄) 제목 (3)

1. rowspan : 행 (가로줄) 병합 시 사용

<td rowspan="2">위 아래 두 줄 합쳐짐</td>

2. colspan : 열 (세로줄) 병합 시 사용

<td colspan="2">colspan좌우 두 줄 합쳐짐</td>

테이블 안의 내용, 중앙정렬하고 싶을 때

1. 일일이 설정하거나

<td><div style="margin:0 auto;">한글</div></td>

2. 테이블 자체에 중앙정렬 걸어주기

<table style="border:1px solid black; margin:auto; text-align:center;">

- 그 外

 

[ CSS 응용 ] DIV 중앙정렬 방법 총정리

| 개요 사이트를 디자인 하다보면 여러가지 정렬방식들이 기초적인 text-align속성과 position속성으로 정렬을 할 수 있다고 설명을 해드린적이 있습니다. 그렇다면 이번엔 조금 더 들어가 Div객체를

saimplay.tistory.com

table 선 만들기

1. table 가장 큰 외곽에 선 만들고 싶을 때

: body 안에!

<table style="border:1px solid black;"> ... </table>

2. table,td, th  항목 하나하나 다 선 만들고 싶을 때

: head 안에!

<style type="text/css">
    table, td, th {
        border: 1px solid black;

    }
</style>

 table border 테두리선  사이 간격 삭제

: table 안에

border-collapse:collapse;

■ 블록 태그

- 박스 형태

- 크기, 여백 지정 可

- 여백 상관 없이 자동으로 단락 나눠짐

1. <div> : 작업 영역 설정 시 사용

<div style="width:600px; height:200px; background:skyblue;">작업 영역 설정 시 사용</div>

2. <nav> : 네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링크 그룹 담을 때 사용

<nav>
    <a href="/nav/">NAV</a> |
    <a href="/link/">LINK</a> |
    <a href="/group/">GROUP</a>.
</nav>

=> 출력 결과 : NAV | LINK | GROUP.

■ 인라인 태그

- 한 줄로 나열

- 여백이 남는만큼만 일렬로 나열됨

- 크기, 여백 지정 불가능.

1. <span> : div 태그 내에서 기능 추가 시 사용

<div style="width:600px; height:200px; background:skyblue;">
이럴수가 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beige;"> 저럴수가</span>
</div>

■ 블록-인라인 태그

- <iframe> : 페이지 안에 다른 페이지 내용 삽입하고 싶을 때 사용

<iframe src="https://naver.com" frameborder="0">
</iframe>

■ CSS 방식

  inline 방식 internal 방식 external 방식
형식 style="속성1:값; 속성2:값;" <style></style> css파일 만들어 css파일 link함
(디자인-데이터 완전 분리)
<p style="color:coral; margin-left:0;">
inline방식</p>
<head>
    <style>
         p {
            margin-left:20px;
        }
    </style>
</head>
<link href="css파일" type="text/css" rel="stylesheet"/>

- CSS 속성

1. margin : 외부에 여백 만듦

2. padding : 내부에 여백 만듦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