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🔺 문제
11403번: 경로 찾기
가중치 없는 방향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, 모든 정점 (i, j)에 대해서,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없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www.acmicpc.net
🔺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|
import java.util.*;
import java.io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;
static int[][] distance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distance = new int[N + 1][N + 1];
for(int i = 1 ; i <= N ; i++) {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" ");
for(int j = 1 ; j <= N ; j++) {
distance[i][j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}
}
// 플로이드-워셜
for(int k = 1 ; k <= N ; k++) {
for(int i = 1 ; i <= N ; i++) {
for(int j = 1 ; j <= N ; j++) {
if(distance[i][k] == 1 && distance[k][j] == 1)
distance[i][j] = 1;
}
}
}
// 출력
for(int i = 1 ; i <= N ; i++) {
for(int j = 1 ; j <= N ; j++) {
System.out.print(distance[i][j] + " ");
}
System.out.println();
}
}
}
|
cs |
✅ 해결 아이디어
✔ 플로이드-워셜
- 최단 거리 배열 업데이트 시 조건 변형 :if(distance[i][k] == 1 && distance[k][j] == 1)
일 때,distance[i][j]
로 업데이트
🔺 다른 풀이들
- 출력 StringBuilder로 하면 메모리가 더 줄지요
[백준] 11403번: 경로 찾기 - JAVA
🔗 문제 링크 BOJ 11403번: 경로 찾기 11403번: 경로 찾기 가중치 없는 방향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, 모든 정점 (i, j)에 대해서,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없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girawhale.tistory.com
💬 느낀 점
이렇게 3중 for문 하는 알고리즘 이름을 플로이드-워셜이라고 하는구나... 싶었다.
1회독 | 2회독 | 3회독 | 4회독 | 5회독 |
V | 6/26 |
(+ 6/26 2회독)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|
import java.util.*;
import java.io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;
static int[][] dp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Tokenizer st;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// 최단 경로 배열 선언 · 초기화
dp = new int[N][N];
// 인접 행렬 채우기
for(int i = 0 ; i < N ; i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 " ");
for(int j = 0 ; j < N ; j++) {
dp[i][j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}
}
// 플로이드-워셜
for(int k = 0 ; k < N ; k++) {
for(int i = 0 ; i < N ; i++) {
for(int j = 0 ; j < N ; j++) {
// 🔔 중간 경로 중 1개라도 연결되어 이다면, 연결 노드로 저장 🔔
if(dp[i][k] == 1 && dp[k][j] == 1) {
dp[i][j] = 1;
}
}
}
}
// 출력
for(int i = 0 ; i < N ; i++) {
for(int j = 0 ; j < N ; j++) {
sb.append(dp[i][j]).append(" ");
}
sb.append("\n");
}
System.out.println(sb);
}
}
|
cs |
반응형
'코테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/JAVA] 1197번: 최소 스패닝 트리 (0) | 2023.05.04 |
---|---|
[백준/JAVA] 1389번: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(0) | 2023.05.03 |
[백준/JAVA] 11404번: 플로이드 (0) | 2023.05.03 |
[백준/JAVA] 1219번: 오민식의 고민 (0) | 2023.05.02 |
[백준/JAVA] 11657번: 타임머신 (0) | 2023.05.02 |